전자세금계산서발행 2

[2025년 7월]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 확대|2024년 매출 8천만 원 넘겼다면 필수 확인!

[2025년 7월]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 확대|2024년 매출 8천만 원 넘겼다면 필수 확인!2025년 7월 1일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급 대상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이에 따라 개인사업자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핵심들만 정리해 보았습니다.1.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 어떻게 바뀌나요?개인사업자는 직전 연도 사업장별 재화 및 용역의 공급가액 규모에 따라 2012년 1월부터 발급 의무를 시행하고 있는데요.​2024년 7월 1일부터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 개인사업자가 '직전 연도 과세·면세 공급가액 합계가 8천만 원 이상인 자'로 확대되었습니다. 적용 시기는 다음 해 제 2기 과세기간이 시작하는 날로, 2025년 7월 1일부터 의무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렇게 한번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

거래처가 세금계산서를 안 줄 때?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로 처리하는 법

거래처가 세금계산서를 안 줄 때?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로 처리하는 법거래처에서 상품을 납품받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뒤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인데간혹 거래처 측에서 세금계산서를 제때 발급해주지 않는 경우, 있지 않으셨나요?​이럴 땐 "어떡하지?" 하고 당황하기 쉽지만,사실 국세청에서도 이런 상황을 대비한 제도를 마련해 두었어요.바로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인데요.​[AI 얼마경리]가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 신청에 대한 조건과 절차 등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매입자 발행 세금계산서란?공급자(거래처)가 부가세 과세 대상 거래를 한 뒤, 해당 거래에 대해 세금계산서 발행을 하지 않는 경우매입자가 세무서에 거래 사실을 확인받아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매입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