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 3

연차 계산 기준 완벽 정리|입사일·회계연도 차이부터 수당 정산까지 한눈에!

연차 계산, 왜 이렇게 복잡할까요?‘연차휴가’는 단순한 복지 개념을 넘어 근로자의 정당한 권리입니다. 때문에 인사·급여 담당자 입장에서는 정확한 연차 계산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차일수, 발생 기준, 연차수당 정산 방법 등 헷갈리는 포인트가 많아 실무에서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R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연차휴가 발생 기준과 연차수당 계산법을 [디포커스 HR]이 쉽게 정리해드릴게요.1. 연차 발생 기준: 입사일 기준 vs 회계연도 기준구분입사일 기준회계연도 기준기준근로기준법회계 실무상 편의적 적용연차 발생일입사연도 기준(1주년, 2주년, …)매년 1월 1일📌 입사일 기준 연차 계산 방법[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근로자의 개별 입사일을 기준으로 1년 이상 80%..

[HR 활용백서] 연차를 좀 더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 반차, 반반차 제도 알아보기! 오전/오후 반차 사용 시간은?

1. 반차와 반반차 개념우리나라의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르면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휴가를, 1년 미만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으로 출근한 근로자가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여기까지는 우리에게 익숙한 연차유급휴가, 줄여 말하면 '연차'의 개념인데요.​최근 일과 삶의 균형, 즉 워라밸을 중시하는 문화가 사회 내 확산됨에 따라 이 연차를 시간 단위로 나눠 사용할 수 있는 '반차'와 '반반차' 제도가 각광받고 있습니다.​반차연차를 오전 또는 오후로 나눠 사용하는 휴가를 의미합니다. 일 근무 시간이 8시간인 직장인 기준 오전 4시간 또는 오후 4시간 사용이 가능한 것이지요.​반반차반반차는 반차를 한 번 더 나눠 2시간 단위로 사용하는 휴가를 의미합..

[HR 활용백서] 연차유급휴가, 1년 미만/1년 이상 근로자 연차, 미사용 연차수당 개념 정복하기!

1. 연차유급휴가 개념📖 근로기준법 제60조​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직장 생활의 한 줄기 빛과도 같은 연차! 이 연차는 연차유급휴가의 줄임말로,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 따라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2. 1년 미만 근로자 연차💡 출근율(%) 구하는 법​출근일수/소정근로일수X100또한 동법 제2항에 따라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으로 출근한 근로자에게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