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차유급휴가 개념
📖 근로기준법 제60조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
직장 생활의 한 줄기 빛과도 같은 연차! 이 연차는 연차유급휴가의 줄임말로,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 따라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2. 1년 미만 근로자 연차
💡 출근율(%) 구하는 법
출근일수/소정근로일수X100
|
또한 동법 제2항에 따라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으로 출근한 근로자에게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최대 11일 발생)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요. 1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 입사일로부터 1년 이내에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사용 권한이 소멸된다는 점입니다. (단,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멸되지 않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1년 이상 근로자 연차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15일의 유급휴가. 따라서 연차는 기본적으로 1년에 15개가 발생하고, 최초 1년을 초과한 후 2년마다 1개씩 가산되어 부여됩니다. 추가 휴가를 포함해 총 휴가일수는 최대 25일입니다.
계속근로연수 대비 연차휴가 발생일수
|
|||||||||||
근속년수
|
1년
|
2년
|
3년
|
4년
|
5년
|
7년
|
9년
|
15년
|
19년
|
21년
|
25년
|
가산일수
|
|
|
(+1)
|
|
(+2)
|
(+3)
|
(+4)
|
(+7)
|
(+9)
|
(+10)
|
(+10)
|
휴가일수
|
15일
|
15일
|
16일
|
16일
|
17일
|
18일
|
19일
|
22일
|
24일
|
25일
|
25일
|

4. 미사용 연차수당 개념
📖 근로기준법 제60조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하는 연차를 업무 등으로 인해 근로자가 1년 내 사용하지 못한 경우 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이를 미사용 연차수당이라고 합니다. 단, 사업장에서 연차사용촉진제도를 시행했음에도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않아 소멸된 경우에는 미사용 연차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인사관리,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전자계약 모든 HR 업무를 하나로! 모두가 만족하는 디포커스 HR [링크]
아이퀘스트의 올인원 HR 솔루션 [디포커스 HR]은 근태를 기반으로 한 급여 관리가 장점인 HR 솔루션으로,



보편적인 HR 기능을 탑재해 인사관리부터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연말정산, 전자계약까지
HR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전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며 쓸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디포커스 HR] 관련해 도입 문의를 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HR 전문 컨설턴트가 1:1로 친절하고 빠르게
우리 회사에 맞는 근무 시스템을 제안해 드립니다.
'HR 관리 가이드 > 근태·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휴가, 연차로 처리해도 될까? 인사담당자를 위한 연차·약정휴가 관리 가이드 (0) | 2025.07.28 |
---|---|
근태관리 어려운 건설·물류·제조 현장, 근태관리 노하우와 실무 팁 (0) | 2025.06.23 |
연차 계산 기준 완벽 정리|입사일·회계연도 차이부터 수당 정산까지 한눈에! (0) | 2025.05.30 |
[HR 활용백서] 연차를 좀 더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 반차, 반반차 제도 알아보기! 오전/오후 반차 사용 시간은? (0) | 2024.09.20 |
[HR 활용백서] 연장·야간·휴일근무 시 휴가시간 계산 및 운영 방법이 궁금하다면? 보상휴가 제도에 대한 모든 것!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