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5년 적용 최저임금, 시간당 10,030원
업종 별 결정 단위
|
시간급
|
모든 산업
|
10,030원
|
※ 최저임금 적용 기간 : 2025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
2025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습니다. 올해 적용 중인 시간당 9,860원에서 170원(1.7%) 인상된 10,030원입니다. 본 최저임금은 산업별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지난 12일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도 최저임금안인 1만 30원을 의결했고, 고용노동부는 17일 해당 안을 고시하였는데 이의 제기 접수 시한인 지난 7월 29일까지 접수된 이의 제기 접수 건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 최저임금안에 대해 이의 제기가 제출되지 않은 것은 지난 2020년 이후 4년 만입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2024년 8월 5일까지 2025년 최저임금을 최종 결정할 전망입니다.

2. 2025년 적용 최저임금을 월급으로 환산 시에는?
주 5일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 기준, 주 40시간에 주당 유급주휴 8시간 포함한 209시간으로 계산하면 내년 2025년 예상 월급 환산액은 2,096,270원입니다. 연봉 기준으로는 25,155,240원입니다.

3. 최저임금 외 달라지는 점은?
최저임금제가 도입된 1988년 이후 37년 만에 최저임금 1만 원 시대가 도래했는데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달라지는 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먼저 최저임금제는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해 최소한의 생활 안정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이 최저임금은 실업급여, 지역고용촉진지원금, 고용촉진장려금, 출산전후 휴가급여 등 각종 사회 보장 법·제도들의 기준이 됩니다.
2025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달라지는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실업급여 하한액
|
산재 보상액
|
설명
|
고용보험법상 실업급여의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설정
|
산업재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보험급여 인상
|
24년 현재 기준
|
(일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 기준)
하루 6만 3,104원 ▶ 월 189만 3,120원
|
(현 최저임금 9,860X8)
하루 7만 8,880원
|
25년 최저임금 적용 시
|
(일 8시간 근무하는 근로자 기준)
하루 6만 4,192원 ▶ 월 192만 5,760원
|
(25년 적용 최저임금 10,030X8)
하루 8만 240원
|
이 밖에 출산전후휴가 급여, 장애인 고용장려금, 직업훈련수당, 지역고용촉진지원금 등도 최저임금 인상에 영향을 받아 소폭 인상될 전망입니다.
👉 인사관리,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전자계약 모든 HR 업무를 하나로! 모두가 만족하는 디포커스 HR [링크]
아이퀘스트의 올인원 HR 솔루션 [디포커스 HR]은 근태를 기반으로 한 급여 관리가 장점인 HR 솔루션으로,

보편적인 HR 기능을 탑재해 인사관리부터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연말정산, 전자계약까지
HR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전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며 쓸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디포커스 HR] 관련해 도입 문의를 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HR 전문 컨설턴트가 1:1로 친절하고 빠르게
우리 회사에 맞는 근무 시스템을 제안해 드립니다.
'HR 관리 가이드 > 급여·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괄임금제 의미와 자주 묻는 질문|폐지 시 근로자·기업에 미치는 영향 (0) | 2025.09.29 |
---|---|
근로자의 날에 일하면 휴일근로수당을 지급해야 할까요? (0) | 2025.04.22 |
4대보험 보수총액신고 방법, 2025년부터 일부 변경됩니다(feat. 건강보험) (0) | 2025.02.17 |
[HR 활용백서] 워라밸 행복산단 지원사업 취지 및 주요 내용 한눈에 보기 (0) | 2024.08.27 |
[HR 활용백서] 8월 15일 광복절, 5인 이상 사업장은 유급휴일 보장! 만약 광복절에 근무해야 한다면 급여 계산은?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