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법인 결산 필수 가이드]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 이렇게 해야 깔끔해집니다

지금 혹시 첫 법인 결산을 준비하고 계신가요?
1년 동안 열심히 회사를 운영하고 처음으로 법인 결산을 준비하자니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막막하실 거예요. 특히 제조업이나 유통업을 운영하신다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가 가장 큰 골칫거리일 거예요.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는 법인 결산의 핵심이자, 납부할 법인세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재고를 정확히 파악해야 매출원가를 계산할 수 있고, 그 결과가 기업의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줍니다. 무엇보다 문제 없이 재고를 관리해야 추후 감사나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저희 재고ERP [얼마에요ERP]가 첫 법인 결산을 앞둔 기업들이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결산 시 꼭 챙겨야 할 6가지 핵심 항목을 정리해드릴게요.
1.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가 법인 결산에 중요한 이유
법인 결산을 할 때, 경리 담당자가 가장 많은 시간을 쏟는 업무 중 하나가 바로 '재고자산' 집계입니다.
왜 재고자산 집계가 법인 결산에서 그토록 중요할까요? 그 이유는 재고자산이 회사의 이익과 세금을 결정하는 핵심 키(Key)를 쥐고 있기 때문이에요.
재고자산이 '매출원가(비용)'를 결정해요!
회계와 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1년 동안 발생한 매출원가(Cost of Goods Sold)를 계산합니다.
- 기초 재고액 + 당기 매입액 - 기말 재고액 = 매출원가(비용)
여기서 가장 중요한 변수가 바로 '기말 재고액'입니다. 법인 결산 시점에 창고에 남아있는 원재료의 가치(기말 재고액)가 얼마인지에 따라, 1년 동안 비용으로 처리되는 매출원가가 달라져요.
즉, 원재료가 얼마나 남아있는지(기말재고), 어떤 단가로 평가했는지(평가방법), 입출고 및 사용내역이 제대로 기록됐는지가 그 해의 수익성과 재무제표 신뢰성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제조업 또는 원재료 투입이 많은 업종이라면 더욱 신경 써야 해요. 예시를 하나 들어볼게요.
- 예시 : 기초 재고가 100만 원, 당기 매입이 1,000만 원이라고 가정해 볼게요.
- 사례 A : 기말 재고를 꼼꼼히 관리해 300만 원으로 집계
- 매출원가 = 100만 원 + 1,000만 원 - 300만 원 = 800만 원 (비용)
- 사례 B : 재고 관리를 소홀히 해 100만 원으로 잘못 집계 (200만 원 누락)
- 매출원가 = 100만 원 + 1,000만 원 - 100만 원 = 1,000만 원 (비용)
사례 B처럼 재고를 누락하면 당장의 법인세는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명백한 회계 오류이자 탈세입니다. 만약 세무조사에서 이 사실이 적발된다면, 누락된 세금 20만 원은 물론이고 가산세까지 포함하여 훨씬 더 큰 금액을 추징당하게 됩니다.
반대로, 재고를 실제보다 많이(과다) 잡으면 어떻게 될까요? 매출원가가 줄어들어 이익이 부풀려지고, 내지 않아도 될 세금을 더 내게 됩니다.
잘못된 재고 관리가 세금에 미치는 영향
위 사례를 보면, 기말 재고를 200만 원 적게 잡았더니(B사례), 매출원가(비용)가 200만 원이나 부풀려졌습니다. 비용이 커지면 회사의 이익은 어떻게 될까요?
|
구분
|
사례 A (정확한 관리)
|
사례 B (부실한 관리)
|
차이
|
|
매출액
|
2,000만 원
|
2,000만 원
|
-
|
|
매출원가
(비용)
|
800만 원
|
1,000만 원
|
+200만 원
|
|
매출총이익
|
1,200만 원
|
1,000만 원
|
-200만 원
|
|
납부할 법인세
(예: 세율 10%)
|
120만 원
|
100만 원
|
-20만 원
|
이처럼 재고자산이 과대 혹은 과소 인식되면 자산부풀리기 또는 비용과다 인식으로 이어져 결산 수치가 왜곡될 수 있어요.
따라서 원재료입고·출고가 빈번하고 단가 변동이나 품질저하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에서는 수량과 단가 모두 정확히 관리돼야 해요. 재고회전율이 낮거나 장기간 재고로 남아있는 원재료는 손상 또는 폐기 위험이 있어 손실처리 여부가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그리고 결산 후 외부 감사나 세무조사 시 재고 관련 장부 (수불부, 실사내역, 폐기내역 등) 제출을 요구받을 수 있는데요. 이때 준비가 안 돼 있으면 지적사유가 될 수 있어요.
2. 재고 수불부 입출고 기록, 꼼꼼히 관리하는 방법
법인 결산의 기초가 되는 기말 재고액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첫걸음은 바로 '재고 수불부'를 꼼꼼하게 작성하는 것입니다. 재고 수불부는 말 그대로 '재고가 들어오고 나가는 것을 기록하는 장부'예요.
장부 상의 재고를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근거 자료인데요. 제조업의 경우, 출고가 단순히 판매가 아니라 생산 투입'을 의미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해요.
입고와 출고 시점을 정확히 기록해야 장부상의 재고와 실제 재고가 일치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결산 시점에 정확한 기말재고 수량이 산출되고, 손실이나 감모도 정확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재고 수불부 작성 시 알아두면 좋을 팁
1) 입고(Receiving) 기록: 정확한 근거와 단가 확인
원재료가 창고에 들어올 때, 입고 시점은 물건이 들어온 날짜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기록합니다. 그리고 수량만 세고 끝내면 절대 안 됩니다. 공급처에서 받은 거래명세서의 수량과 실제 들어온 수량이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재고의 가치를 평가하려면 수량뿐만 아니라 '단가'를 정확히 알아야 해요. 세금계산서에 기재된 매입 단가를 수불부의 입고 기록에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운반비 등 부대비용이 있다면 매입원가에 포함시키세요.
2) 출고(Shipping/Usage) 기록 : '생산 투입'을 추적하기
'출고'는 생산 라인에 원재료를 투입하는 것으로, 제조업 재고 관리의 핵심입니다.
생산지시서/자재청구서(BOM) 기반으로 하는데요. 생산팀에서 "A 제품 100개를 만들기 위해 B 원재료 50kg, C 원재료 20개가 필요합니다"라는 자재청구서(BOM 기반)를 발행하면, 창고에서는 해당 수량만큼을 '출고'로 기록하고 생산 라인으로 보냅니다.
만약 생산 현장에서 필요한 만큼 창고에서 마음대로 원재료를 가져다 쓰고 기록하지 않는다면, 수불부의 장부 재고는 의미가 없어집니다. 모든 자재 이동은 반드시 기록을 근거로 이루어져야 해요. 만약 원재료 자체를 판매하는 경우에는 '판매 출고'로 별도 구분하여 기록해야 합니다.
이렇게 생산 투입, 판매, 반출, 샘플 제공, 폐기 등의 사유를 정확히 구분해서 기록해야 합니다. 그리고 정상적 출고와 비정상적 출고(샘플/폐기)를 구분해두면 회계처리 시 손실계정 분류가 쉬워요.
3) 현재고(Stock) 관리: 장부 재고의 실시간성
입고와 출고가 정확히 기록되면, 수불부의 '현재고' 수량은 창고에 남아있어야 할 수량과 정확히 일치해야 해요. 이 장부 재고 수량이 연말 재고 실사의 기준점이 됩니다.
그래서 수불부와 실제 창고 재고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불일치 항목(폐기·감모·도난 등)을 조기에 발견해야 해요.
엑셀로 수불부를 관리할 경우, 수식 오류, 입력 실수, 파일 버전 관리 실패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엉망이 되기 쉽습니다. 특히 입고 시점마다 단가가 다른데, 어떤 단가로 출고를 잡아야 할지(재고평가)의 문제가 발생하죠.
따라서 법인 결산을 앞둔 기업이라면, 재고ERP 솔루션과 같이 입고-생산-출고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수불부를 자동 생성해 주는 시스템 도입을 고려해 봐야 해요.
3. 적정 재고평가 방법 선택과 적용 포인트
재고 수불부로 수량을 파악했다면, 이제 이 수량에 금액을 매겨 '기말 재고액'을 확정해야 합니다. 이것을 '재고평가'라고 해요.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는데요. 원재료는 사 올 때마다 가격(단가)이 달라진다는 점입니다.
이때 어떤 단가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매출원가(비용)와 기말 재고액(자산)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세법에서는 기업이 일관된 기준을 적용하도록 여러 가지 재고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세무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주요 재고평가 방법 5가지
|
평가 방법
|
정의 (가정)
|
장점
|
단점
|
법인세 영향
(물가 상승 시)
|
|
개별법 (Specific ID)
|
|
|
|
|
|
선입선출법 (FIFO)
|
|
|
|
|
|
후입선출법 (LIFO)
|
|
|
|
|
|
이동평균법
|
|
|
|
|
|
총평균법
|
|
|
|
|
적용 포인트와 유의할 점
- 회사의 원재료 특성 (다품종·다단가 vs 동일품목·단가변동 적음)에 맞춰 평가방법을 선택해야 해요.
- 한번 선택한 평가 방법은 매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며, 변경하려면 반드시 세무서의 승인을 받아야 해요.
- 회계정책 변경 시에는 내부결재, 외부공시 (변경사유 · 재무제표 영향) 등이 필요해요.
- 법인 설립 첫해의 법인세 신고 시 '재고자산 평가방법 신고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만약 신고하지 않으면 세법상 가장 보수적인 방법(보통 선입선출법)으로 강제 적용됩니다.
- 세법 및 회계기준(예: K‑GAAP, K-IFRS)상 허용 여부도 확인해야 해요.
4. 정기적인 실사를 통해 재고량 정확하게 파악하기
앞서 재고 수불부는 장부 상의 재고라고 말씀드렸죠? 그런데 막상 진짜 재고 현황을 파악하다 보면, 재료가 운반 중 파손되거나, 생산 과정에서 불량이 나거나, 심지어 도난이나 분실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따라서 재무상태표에 기록될 진짜 기말 재고액을 확정하기 전에는, 장부 재고와 실제 재고를 비교 검증하는 '재고실사'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재고실사, 왜 필수적인가요?
재고실사는 장부와 현실의 차이를 발견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회계 장부에 정확한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 장부 재고: 재고 수불부 상의 수량 (예: A 원재료 100개)
- 실제 재고: 창고를 직접 방문하여 눈으로 센 수량 (예: A 원재료 95개)
- 차이(손실): 5개 (이 5개의 손실을 재고감모손실로 처리해야 합니다.)
만약 재고실사 없이 장부상의 100개로 결산을 마감한다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유령 재고(자산) 5개를 장부에 남겨두는 셈이 됩니다. 이는 자산을 부풀리고, 비용(매출원가)을 줄여 세금을 더 내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효과적인 재고실사 방법
재고실사는 12월 31일에 한 번 '몰아서' 하려고 하면 너무 힘들고 정확도도 떨어집니다. 그래서 가능하다면 정기적으로 실사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물론 틈날 때마다 수시로 체크하는 것도 좋습니다.
1) 기본적인 재고실사 절차
- 실사 계획 수립 (품목별 현황, 담당 배정)
- 실사 시 장부재고 vs 실물재고 비교
- 차이 발생 시 즉시 원인 파악 (분실, 입력오류, 회계오류 등)
- 실사보고서·조정분 회계 반영 (실사조정계정으로 기장)
2) 정기적인 실사
- 전수조사(연 1회) : 법인 결산을 위해 12월 31일(또는 결산일)을 기준으로 모든 재고를 세는 것은 필수입니다.
- 순환조사(수시) : 현명한 기업은 재고를 중요도(ABC 분석 등)에 따라 나눕니다. 고가의 A급 재고는 매월, B급 재고는 분기별, C급 재고는 반기별로 세는 등 정기적인 순환 조사를 통해 오류를 미리미리 수정합니다.
3) 재고실사 준비사항
- 재고 이동 중지 : 실사 당일에는 모든 입고와 출고를 중지해야 합니다.
- 창고 정리: 재고가 품목별, 위치별로 잘 정리되어 있어야 빠르고 정확하게 셀 수 있습니다.
- 실사 계획 수립: 누가(2인 1조 추천), 언제, 어떤 구역을 맡을지 명확히 계획합니다.
4) 실사 및 검증
- 실사표 작성: 장부 수량을 미리 적어두지 않은 '빈 실사표'에 실제 센 수량을 기입합니다. (장부 수량을 미리 보여주면 편견이 생겨 대충 맞추게 될 수 있어요.)
- 차이 분석: 실사표의 수량과 장부(수불부) 수량을 비교하여 차이를 기록하는 리스트를 만듭니다.
- 원인 규명: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반드시 추적해야 합니다. (예시 : 기록 누락, 생산 중 과다 투입, 파손, 분실 등)
- 원인별 대응 : 폐기 및 소모는 감모손실계정 처리, 분실이나 횡령이 의심되면 조사 후 자산손실 또는 잡손실로 처리해요.
실사 시 유의사항
- 현장보관 재고 (예: 공장 외 창고, 라인 하단 재고 등)가 누락되면 실제 재고가 과소 인식될 수 있어요.
- 출고 준비 중인 원재료가 ‘출고 완료’로 처리되지 않고 기말잔액에 포함돼 있을 수 있어요.
- 실사 이후 수불부와 금액·단가가 맞지 않는 품목이 있으면 재고평가 단가 산출 과정 (평균단가 등)도 재검토해야 해요.
5. 재고 손실과 폐기 원가 처리 정확히 하기
재고실사를 통해 장부와 실제 재고의 차이를 발견했다면, 이 사라진 재고를 회계상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또한, 유통기한이 지났거나 파손되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불용 재고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원재료 재고관리에서 적지 않게 발생하는 이슈가 바로 ‘손실’(감모·도난·파손)과 ‘폐기’인데요. 세법에서 인정하는 방식으로 정확하게 비용 처리해야만 불필요한 세금을 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산 시 누락되거나 잘못 처리되면 비용이 과소 또는 과다 인식돼 수익성이나 자산금액이 왜곡될 수 있어요.
손실처리 주요 계정 예시
- 감모손실 : 자연적 감소 (예: 휘발성 원료 증발)
- 폐기손실 : 불량·변질·유통기한 초과 등으로 처분
- 견본비 : 시제품·샘플용으로 무상 제공한 자재비
- 잡손실 : 확인되지 않은 재고부족 등
손실·폐기 발생 시 처리 흐름
- 발생원인 확인 : 도난, 분실, 품질불량, 변질·부패 등 발생원인을 확인해 내부통제를 강화해요.
- 수량파악 및 금액산정 : 실제 손실수량 × 원가단가(재고평가단가)로 금액 계산.
- 장부조정 : 기말재고에서 해당 수량을 차감하고 손실처리 계정 (감모손실 등) 에 비용으로 인식해요.
- 폐기 관련 원가처리 : 사용불가 원재료라면 폐기비용으로 처리하고, 회수 가능한 자재라면 재활용·매각처분 여부 확인해요.
1) 재고감모손실: 수량이 부족할 때 (예 : 장부 100개, 실제 95개)
'재고감모손실'은 도난, 분실, 파손, 증발 등으로 재고의 수량이 부족해진 것을 의미합니다. 세법에서는 이 손실의 원인에 따라 비용 처리 방식을 다르게 봅니다.
|
구분
|
정상 감모손실 (Normal Loss)
|
비정상 감모손실 (Abnormal Loss)
|
|
원인
|
생산/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상적이고 피할 수 없는 손실
(예: 액체의 증발, 재단 시 자투리 발생)
|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발생한 손실
(예: 도난, 화재, 관리 소홀로 인한 대량 파손, 분실)
|
|
회계 처리
|
매출원가(비용)에 포함시킴
|
영업외비용 (재고감모손실)으로 처리
|
|
세무상
영향
|
비용으로 전액 인정받음
(회사의 정상적인 원가로 봄)
|
비용으로 인정 못 받을 수 있음
(특히 증빙이 불충분할 시)
|
|
중요
포인트
|
업종 평균, 과거 경험치 등 '정상적'이라는 근거가 필요함
|
경찰서 신고 내역, 화재 사실 확인서, 내부 징계 보고서 등 명확한 객관적 증빙이 필수
|
2) 재고평가손실
수량은 있지만 가치가 하락할 때 수량은 100개 그대로 있지만, 원재료가 진부화되거나 시장 가격이 폭락하여 구매한 가격(취득원가)보다 현재 가치(시가)가 더 낮아진 경우입니다. 이때는 저가법을 적용하여 재고평가손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 손실은 매출원가(비용)로 인정됩니다.
3) 재고폐기손실
불용 재고를 버릴 때유통기한이 지났거나, 심하게 파손되어 도저히 사용할 수 없는 재고는 폐기해야 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이 재고를 정말 버렸다"는 것을 세무서에 증명하는 것입니다.
담당자가 그냥 창고에서 몰래 버리고 장부에서 삭제하면 증빙 불충분으로 비용 인정이 불가능하여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어요.
그러므로 올바른 증빙 확보가 꼭 필요해요. 먼저 내부 품의를 거쳐 폐기할 재고 리스트와 사유, 수량, 금액을 명시한 내부 폐기 승인(품의)을 받으세요.
객관적 증빙을 위해 폐기물 처리 업체에 의뢰하여 폐기물 처리 확인서와 계근표(무게 측정표), 세금계산서 등을 발급받으세요. 폐기 전 재고 상태와 폐기 과정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남겨두는 것도 좋아요. 그후 재고폐기손실(영업외비용)로 처리합니다.
손실·폐기 처리 실무 팁과 유의사항
- 재고평가 시 이미 손상된 원재료가 기말재고에 포함돼 있으면 자산 과대 계상 위험이 있어요.
- 손실·폐기처리가 늦거나 누락되면 다음 결산기간으로 손실이 이월되어 수익이 과대 인식될 수 있어요.
- 내부통제 미흡 (예: 창고 권한관리 부재, 재고 이동기록 누락 등)으로 인해 손실원인을 식별 못하면 감사 시 지적될 수 있어요.
- 정기적으로 폐기 대상 원재료 품목을 미리 리스트업하고, 폐기 기준 (예: 유통기한, 입고일 기준 경과기간 등)을 마련하세요.
- 손실이 반복 발생하는 품목은 재고회전성이 낮거나 재고관리체계에 문제가 있는 신호일 수 있어요. 이 경우 수불부 흐름, 안전재고수준, 현장사용흐름을 재검토해야 해요.
- 미판매로 방치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졌더라도 단순 재고평가손만으로는 비용인정이 어려워요. 실제 폐기 또는 처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감모·폐기 항목을 정확히 구분해 처리해야 결산 손익이 왜곡되지 않고, 법인세 부당공제 리스크도 예방할 수 있어요.
6.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ERP 전산 시스템 도입
지금까지 원재료 재고 관리를 위해 법인 결산 시 수행해야 할 5가지 핵심 단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과정을 대표님이나 경리 담당자가 엑셀이나 수기 장부로 관리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과연 가능할까요?
엑셀로 실시간 수불부를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생산팀의 출고 기록이 누락되면 바로 오류가 발생하고, 이동평균법 같은 정확한 원가 계산은 엑셀 함수로는 매우 복잡하여 포기하게 되죠.
재고실사 후 차이 분석과 감모손실을 회계 장부에 반영하는 데 수일이 걸리며, 폐기 증빙과 회계 장부가 따로 관리되어 결산 시 누락되기 쉽습니다.
결국, 기업의 규모가 커지고 매출이 발생할수록 수동 관리는 한계에 부딪히고, 그 오류는 모두 세무 리스크로 돌아옵니다. 특히 입고·출고가 많거나 현장이 다수인 기업에겐 오류와 누락 리스크가 커져요.
그래서 법인 결산을 앞둔 기업에게 재고 ERP 시스템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얼마에요ERP]와 같은 재고 특화 ERP는 이 모든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하여 관리합니다.
|
재고 관리 영역
|
엑셀/수기 관리의 문제점
|
ERP 솔루션
|
|
입고/매입
|
세금계산서 따로, 수불부 따로 입력
(이중 작업, 누락)
|
매입(세금계산서) 데이터가 재고 입고로 자동 연동
|
|
출고/생산
|
생산팀의 자재 사용 내역을 수기로 받아 입력 (지연, 오류)
|
생산 관리(BOM) 모듈과 연동되어, 생산 계획에 따라 원재료가 자동으로 출고 처리됨
|
|
수불부
|
실시간성이 떨어지며 데이터 신뢰도 낮음
|
구매-생산-판매 데이터가 연동되어 실시간 자동 생성
|
|
재고평가
|
계산이 복잡하여 총평균법이나 선입선출법만 겨우 사용
|
이동평균법, 선입선출법 등 원하는 평가 방법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평균 단가 계산
|
|
결산/보고서
|
결산 보고서를 만들기 위해 모든 엑셀 자료를 다시 취합
|
클릭 한 번으로 재고자산명세서, 수불부 등 결산 및 세무 신고 자료 자동 산출
|
도입 시 체크리스트
- 원재료 입고 → 현장투입 → 잔재재고 흐름이 시스템상으로 명확히 관리되는가?
- 수불부 양식 (입고·출고·기초·기말) 과 연계돼 있는가? 수량/단가/금액이 트래킹 가능한가?
- 재고평가방법 (FIFO, 가중평균 등) 이 시스템내 설정 가능하고 회계정책 반영됐는가?
- 현장 창고나 분산된 재고장소도 통합되어 실사 대비 효율성이 있는가?
- 생산 관리(BOM) 모듈과 연동되어 생산 계획에 따라 재고 추적이 가능한가?
ERP 솔루션 도입 과정 실무 팁
- 도입 초기엔 핵심 원재료 품목부터 모듈화하여 운영하고, 점차 모든 원재료·소모품으로 확대하는 단계적 접근을 추천드려요.
- 직원 교육과 권한 설정을 철저히 해두면 입고·출고 누락, 오기입 등이 사전에 예방돼요.
- 솔루션 도입 후에는 과거 수불부와 새 시스템 수불부 간 데이터 정합성을 점검해 불일치 원인을 파악해요.
완벽한 결산의 시작은 정확한 재고관리! 재고 관리가 법인 결산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오늘은 법인 결산을 앞둔 기업 경리·회계 담당자분들을 위해 원재료 재고자산 관리라는 주제로 6가지 핵심 항목을 정리해봤어요.
만약 지금 원재료 수불부 작성이 늦었거나, 재고평가방법이 회사 상황에 맞지 않거나, 현장재고 정리가 안 돼 있다면, 오늘 보신 글을 기반으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보시길 추천드려요.
"대충 엑셀로 수량만 맞추면 되겠지?"라고 안일하게 생각하면, 나중에 엄청난 세금 폭탄이나 세무조사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사람이 직접 관리하는 데에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특히 사업이 성장하고 원재료의 종류와 거래량이 많아질수록, 엑셀에 의존하면 리스크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올해 결산을 앞두고 있다면, 지금부터 ERP 시스템으로 재고관리 체계를 자동화해보세요. ERP를 도입하면 원재료의 입고부터 생산 투입, 그리고 회계 장부 반영까지 모든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요. 대표님과 담당자님은 더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는 원재료부터 완제품까지 자산흐름을 자동 추적하며, 평가, 분개, 보고서까지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필요한 결산서류들을 빠르게 작성할 수 있어요.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https://blog.kakaocdn.net/dna/bGrVg5/dJMcaiPbRcb/AAAAAAAAAAAAAAAAAAAAABoLsvsUoFlFtJCDi0vLCi5IGdhTSAGNWxasdDwoVjPK/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l8bVYUKZvDf9XepPOkXt1xxMZw8%3D)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https://blog.kakaocdn.net/dna/bnsrAg/dJMcagw4qM6/AAAAAAAAAAAAAAAAAAAAAO5Tz019N0vuTLFUciviJD4H282TmwqktZiO-eWNY8Rp/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OkZVmYHSTkOyDYgdonYKrlfMd8o%3D)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https://blog.kakaocdn.net/dna/bIA3Xo/dJMcaap5kbw/AAAAAAAAAAAAAAAAAAAAAFPv96jXABHl03wQ1hJ-3U6TV1NsVhfBBe8wYWiWpF7l/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T6Et5ak5MgCIpxGGzqU8XnD%2BUKY%3D)
[얼마에요ERP] 하나로 법인 결산 자료들을 손쉽게 관리하세요.
✅ 재고 수량이 적정 재고량보다 적으면 발주 예측 보고서에 해당 수량만큼 부족 수량이 계산되어 예상 발주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총평균법, 매입단가법 5가지 재고평가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BOM으로 제품 및 반제품 생산시 소요되는 부품별 소요량을 등록하여 제조/생산시 제품별 소요 품목을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 생산지시서로 생산할 제품의 생산량을 등록하면 BOM에 등록된 부품별 소요량이 자동 계산됩니다.
✅ 프로그램과 실재고가 다를 경우 현재고를 입력하여 역산하고 기초 재고를 계산하여 수정합니다.
✅ 거래처별 전용 품목 관리 기능으로 주거래 품목의 빠른 재고 조회 및 처리가 가능하며, 거래처별·품목별 이익 현황 보고서를 제공해요.
✅ 물류, 판매, 구매, 급여 기능이 하나로 연동되어 있어, 한 번만 입력하면 동시에 회계 처리를 할 수 있어요. 또한 전자세금계산서와 생산지시서 등 결산 증빙에 필요한 모든 자료들을 관리할 수 있어요.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 도입후기](https://blog.kakaocdn.net/dna/bGWRTm/dJMcabbsvp8/AAAAAAAAAAAAAAAAAAAAAEsjY0TaQTuLRI8RF0rqYnM-20278dmRXZo-4iHZHvCB/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ZJAp%2FsL8S2n%2BQo5kZnk3BvYcPt0%3D)
지금 바로 재고 ERP [얼마에요ERP]를 도입하고, 법인 결산을 완벽하게 준비해보세요.
아이퀘스트 ERP 솔루션 [얼마에요ERP]가 궁금하시다면, 지금 바로 [얼마에요ERP]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세요.
아래 배너 클릭 후 '제품상담'을 신청하시면 도입 및 혜택 안내를 1:1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ERP 활용백서 > 제조·생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조업 인건비 절세 방법|중소기업 대표가 꼭 알아야 할 절세 핵심 포인트 (0) | 2025.10.21 |
|---|---|
| 제조업 ERP 도입 전 필독! 생산관리 프로그램 교체 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포인트 (0) | 2025.10.14 |
| 명절 물류량 폭증 대비|재고 관리 프로그램으로 물류·재고 빈틈없이 관리하는 법 (0) | 2025.09.09 |
| 제조업·생산업 세무조사 준비 방법|대응 전략과 체크리스트 총정리 (0) | 2025.08.26 |
| 제조업 회계 실무 완벽 가이드|계정과목 정리·제조원가명세서 작성법 총정리 (0) | 2025.08.14 |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 도입 문의](https://blog.kakaocdn.net/dna/bxmDxP/dJMcac9hbYC/AAAAAAAAAAAAAAAAAAAAACw12skHfCI19NG4bDl-FlwImyHehz0Zd9FRxqyvoRCt/img.pn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H4BcoFiCt0Iiq3mmvJ9MaMjH2v8%3D)
![아이퀘스트 재고ERP [얼마에요ERP] 기능 소개](https://blog.kakaocdn.net/dna/bPPK8m/dJMcagw4qM7/AAAAAAAAAAAAAAAAAAAAAFYPTNJeYKRtjYrUGGLhvbhnLbQYIwc0y5GVWffKBiIp/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645147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3u5p3zn6lIpQ7kLZhEs8Uef8zsk%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