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관리 가이드/근태·연차

[HR 활용백서] 연차유급휴가, 1년 미만/1년 이상 근로자 연차, 미사용 연차수당 개념 정복하기!

아이퀘스트_얼마에요 2024. 8. 28. 17:25

 


 

 

1. 연차유급휴가 개념

📖 근로기준법 제60조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개정 2012. 2. 1>

직장 생활의 한 줄기 빛과도 같은 연차! 이 연차는 연차유급휴가의 줄임말로,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 따라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2. 1년 미만 근로자 연차

💡 출근율(%) 구하는 법
출근일수/소정근로일수X100

또한 동법 제2항에 따라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 미만으로 출근한 근로자에게도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부여해야 합니다. (최대 11일 발생)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요. 1년 미만인 근로자의 경우 입사일로부터 1년 이내에 연차를 사용하지 않으면 사용 권한이 소멸된다는 점입니다. (단,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소멸되지 않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1년 이상 근로자 연차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15일의 유급휴가. 따라서 연차는 기본적으로 1년에 15개가 발생하고, 최초 1년을 초과한 후 2년마다 1개씩 가산되어 부여됩니다. 추가 휴가를 포함해 총 휴가일수는 최대 25일입니다.

계속근로연수 대비 연차휴가 발생일수
근속년수
1년
2년
3년
4년
5년
7년
9년
15년
19년
21년
25년
가산일수
(+1)
(+2)
(+3)
(+4)
(+7)
(+9)
(+10)
(+10)
휴가일수
15일
15일
16일
16일
17일
18일
19일
22일
24일
25일
25일

 

4. 미사용 연차수당 개념

📖 근로기준법 제60조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에서 보장하는 연차를 업무 등으로 인해 근로자가 1년 내 사용하지 못한 경우 수당으로 지급해야 합니다. 이를 미사용 연차수당이라고 합니다. 단, 사업장에서 연차사용촉진제도를 시행했음에도 근로자가 연차를 사용하지 않아 소멸된 경우에는 미사용 연차수당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 인사관리,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전자계약 모든 HR 업무를 하나로! 모두가 만족하는 디포커스 HR [링크]

아이퀘스트의 올인원 HR 솔루션 [디포커스 HR]은 근태를 기반으로 한 급여 관리가 장점인 HR 솔루션으로,

보편적인 HR 기능을 탑재해 인사관리부터 근태관리, 급여계산, 경비처리, 연말정산, 전자계약까지

HR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여 전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며 쓸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디포커스 HR] 관련해 도입 문의를 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주세요.

HR 전문 컨설턴트가 1:1로 친절하고 빠르게

우리 회사에 맞는 근무 시스템을 제안해 드립니다.

👉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디포커스HR] 도입 문의 페이지로 이동합니다.